안녕하세요. 테크놀로지투데이나우압니다. 2027년은 아이폰 출시 2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애플은 아이폰 출시 20주년인 2027년에 맞춰 아이폰의 디자인을 완전히 새롭게 바꿀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중 한 가지는 지금의 깻잎통 디자인과 각진 측면 프레임을 접어두고 곡선형 디자인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이는 과거 삼성이 사용했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자인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이폰 19, 베젤 없는 ‘하나의 유리판’ 디자인 적용 목표

9to5 Mac의 보도에 의하면, 애플은 20주년 기념 아이폰에서 베젤을 완전히 없애고 최첨단 고밀도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블룸버그의 이전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2027년을 목표로 아이폰 출시 20주년을 기념하는 아이폰 19룰 개발 중이며, 주요 디자인 변경의 목표는 조너선 아이브가 구상한 단일 유리판처럼 보이는 궁극적인 아이폰 디자인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아직 구체적인 세부 내용은 알려지진 않았지만, 새로운 공급망 보고서에 의하면 삼성 디스플레이와 LG 디스플레이가 개발 중인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베젤이 전혀 없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4면 밴딩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 가능성
블룸버그의 기자 마크 거먼(Mark Gurman)은 20주년 아이폰에서 유리를 더 광범위하게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만으로는 아직 20주년 아이폰의 디자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되는지 명확하지가 않은데요. 국내 IT매체 전자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애플과 그 공급 업체들은 4면 밴딩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이는 유리가 4면 모두에서 휘어져 전면 디스플레이의 모든 베젤를 제거하는 디자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 엣지 디스플레이와의 차이점 및 샤오미 컨셉폰 비교
즉 상하좌우 모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리가 더 널리 사용되면서 전면 디스플레이의 배젤을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는 거죠. 엣지 디스플레이의 원조 격인 삼성은 엣지 디스플레이를 포기했고, 예상보다 빨리 폐기할 것 같았던 중국 제조사들은 여전히 엣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애플이 엣지 디스플레이를 도입한다면, 이는 지금까지의 흐름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상하좌우에 모두 엣지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제품 중 하나는 샤오미의 쿼드 커브드 워터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컨셉 제품이 있습니다. 이 제품이 20주년 아이폰을 상상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다만 이 컨셉 제품은 모서리 부분에 베젤이 있어, 20주년 아이폰은 이 부분마저도 디스플레이로 채워야 더욱 발전된 디자인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4면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면, 애플이 아이폰에 도입하려다 계획을 연기한 압력 감지 측면 버튼을 탑재할 가능성도 높아질 것입니다.
압력 감지 측면 도입 및 새로운 매터리 기술 개발 중
측면 물리 버튼을 없애고, 맥북의 트랙패드처럼 압력을 감지하여 클릭을 인식하며 진동 센서를 통해 물리 버튼을 누르는 것 같은 느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이 4면 엣지 디스플레이 외에도 다이나믹 아일랜드를 아예 없애기 위해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즉 UDC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현재 애플은 실리콘 100%를 음극제로 사용해여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퓨어 실리콘 배터리를 개발 중에 있는데,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의 성공 여부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이 2027년까지 성공적으로 개발될 수 있을지는 아직 확신하지 않습니다. 비슷한 사례로, 애플워치의 혈압 측정 기능이 개발에 성공하여 작년에 출시된 애플워치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개발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어 올해 출시되는 애플워치에도 탑재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소식이 나온 상태입니다.
일단 그립감이나 터치 오작동과 같은 문제는 실제 제품이 출시되어야 확인할 수 있지만, 단순히 디자인 측면에서는 4면 엣지 디스플레이가 굉장히 매력적일 것으로 기대가 되네요. 게다가 UDC까지 성공적으로 개발된다면, 전면 디스플레이는 더욱 완벽한 수준이 되겠죠. 과연 이러한 기술들이 아이폰 출시 20주년을 맞이하는 아이폰 19 프로에 적용이 될 수 있을지 기대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