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테크놀로지투데이나우입니다. 애플의 첫 폴더블 아이폰은 2026년 말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은 아이패드와 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폴더블 아이폰 디자인 아이패드와 똑같다.

Digital Chat Station의 웨이보에 따르면 , 애플은 폴더블 아이폰의 메인 디스플레이 비율을 아이패드와 동일한 4:3으로 설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 매체의 보도에 의하면, 가칭 ‘아이폰 폴드’가 외부 디스플레이 간의 일관성을 계속 유지하고 기존 아이패드 OS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 디스플레이도 약 4:3 비율을 채택할 것이고 합니다.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패드와 아이패드 프로 모델에서 4:3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이패드 프로 11인치 모델이나 디자인이 변경된 기본형 아이패드의 경우 비율이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여전히 4:3 비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관된 디스플레이 비율
반면 아이패드 중에서 비율이 크게 다른 모델은 3:2 비율을 가진 아이패드 미니가 유일합니다. 만약 애플이 4:3 비율을 유지한다면 호환성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물론 4:3 비율은 영상 시청 시 레터박스가 커지는 단점이 있지만, 멀티태스킹이나 문서 작업, 웹 서핑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패드에서 제공했던 사용자 경험을 폴더블 스마트폰에서도 느끼고 싶어하는 분들에게는 폴더블 아이폰이 좋은 선택이 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새로운 사용 경험
또한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폴더블 아이폰이 기존의 폴더블 모델과는 달리 아이패드와 유사한 사용성을 제공한다면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화웨이의 퓨라 X와 비슷한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궁금한 점은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을 아이패드의 연장선으로 보고 화면 분할 기능을 도입할지, 아니면 아이폰의 범주로 간주하여 화면 분할을 지원하지 않을지 입니다.
배터리 수명과 내구성
그 외에 애플은 현재 풀더블 아이폰을 개발하면서 배터리 수명과 내구성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풀더블 아이폰에 대해서 알려진 점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5.5인치의 커버 디스플레이와 7.8인치의 메인 디스플레이 탑재
- 리퀴드 메탈 소재를 적용한 흰지를 통한 메인 디스플레이의 주름 제거 및 내구성을 크게 강화
- 두께는 접었을 때 9.2mm 펼쳤을 때 4.6mm
- 페이스 아이디 모듈은 탑재가 어려우므로 터치 아이디가 내장된 측면 물리 버튼을 통해 내부 설계 공간을 절약 예상
결론
지금까지 폴더블 아이폰 디자인 및 지금까지 알려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 개인적으로는 4:3 비율이 진짜 좋은 것 같습니다. 16:9 비율은 너무 길어서 세로로 잡아도 좋지 않고, 가로로 잡아도 별로라고 생각이 들거든요. 과연 실제 모델은 어떻게 출시될지 궁금하네요.